안녕하세요. '지금'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목표가 반드시 커야 될 필요는 없다.입니다.
'꿈을 크게 가져야 한다.'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꿈을 크게 가진다는 게, 저처럼 마음에 와닿지 않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큰 목표를 세워도 '그게 되겠어?' 하는 마음이 들거나,
그다지 실감 나지도, 마음에 와닿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저와 비슷한 분들을 위해 오늘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지금보다 조금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서 우리는 목표라는 걸 정하게 되는데.
의식주가 해결되어있는 상황에서 동기부여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설레어야 합니다.
아무리 크고 멋진 목표를 정한다고 해도, 그게 마음에 와닿지 않으면
결과를 내기 위해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먹기 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는 것만큼 힘듭니다.
며칠, 몇 달이 지나도 내가 정한 목적지에 가까워지는 느낌이 전혀 안 드는데,
어떻게 그걸 매일 기분 좋게 할 수 있겠어요.
물론 그게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럼 저처럼 5년 뒤, 10년 뒤에 이룰 큰 목표 같은 것에 설레지 않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처럼 큰 목표가 그다지 와닿지 않는 사람은
그걸 작게 나누어서 단계별로 목표를 만들거나
결과를 낼 수 있는 목표를 정해서 하나씩 계속 달성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더 많은 결과를 낼 수 있고, 만들어낸 결과의 수만큼 자존감도 같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경험을 통해서 자존감이 올라가면,
주변 사람들에게 이전보다,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됩니다.
게다가, 자존감이 올라가는 만큼 할 수 있는 것도 더 많아집니다.
그러면 결과도 더 빨리 얻을 수 있겠죠.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가 정한 목표와 지금 내 상황의 거리가
너무 멀게 느껴지면, 동기부여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 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손에 잡힐듯해야 열정도 생기니까요.
그러니 중요한 것은, 나의 목표가 구체적이고 설레어서 동기부여가 되느냐 하는 겁니다.
바로 행동으로 옮기고 싶어지는, 그런 목표를 가지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고맙습니다.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이 최고에요 (0) | 2018.03.20 |
---|---|
후회 없이 살기 위해서는 (0) | 2018.03.19 |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이런 이유일 수도 있습니다. (0) | 2018.03.17 |
당신의 감정은 사랑받고 있나요? (0) | 2018.03.16 |
자유롭고 유연한 사고는, 통제하려는 마음을 내려놓음으로서 찾아옵니다.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