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현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물론 이번 글 끝에 요약을 쓸 것이지만, 의식에 흐름에 맡기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현존이 무엇인가?부터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현존은 쉽게 이야기해서 의식을 지금 이 순간에 두는 것이고,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어떤 그런 특별한 상태가 되는 것이 '전혀' 아님을 미리 말씀드려야 할 거 같습니다.
책을 읽다 보면 현존하게 되면 종소리가 울리고, 지금껏 보지 못했던 아름다운 세상이 펼쳐지고
흑백이었던 세상이 컬러풀이 된다거나 하는 글을 읽고 무언가 특별한 상태라고 오해하기 쉬워집니다.
소녀들이 말하는 첫 키스 같은 거죠. 첫 키스를 하면 귀에서 종소리가 댕댕하고 울릴 거라고 생각하는 거랑
실제 그 느낌은 제법 다르죠? 종소리는 안 들리거든요.
'현존'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에 대해 또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막상 해보면 '아 이거야? 이거 하루에 수백 번은 경험하는 그거잖아.'라고 하게 됩니다.
1)
숨을 크게 한번 들이마셔 보세요.
하나~ 둘~ 셋~
이게 현존입니다.
2)
엄청 배고플 때, 라면을 한 젓가락 먹어보셨죠? 라면의 나트륨이 손가락 끝까지 스며드는 감각을 느껴 보셨죠?
그게 현존입니다.
3)
학창시절 숙제를 안 해 갔습니다. 선생님이 숙제 안 한 사람 다 앞으로 나오라고 합니다.
심장이 뛰기 시작하고, 머릿속엔 어떡하지 어떡하지 하다가, 이내 생각이 멈춰 버립니다.
그게 현존입니다.
생각과 판단이 사라지고 생생하게 깨어있는 상태가 바로 현존입니다.
이 간단한 걸 알려고 저는 같은 책을 몇 번을 몇 년을 읽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자 그럼 이제 현존을 왜 해야 하는지에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지금 굉장히 불쾌한 상태라고 해 봅시다.
그런데 내가 잘 풀리기 위해서는 감사하는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이 간극은 너무 멀기 때문에 아무리 감사하려고 해도 그게 쉽게 될 리가 없습니다.
원망하는 감정에 빠져 있는데 감사하는 감정이 나올 리가 없습니다.
불가능한 것을 하지 말자고요. 우리는 가능한 것을 해야 합니다.
감정의 깊이가 -100에서 +100까지 있다고 가정할 때
지금의 감정이 -90이고 내가 원하는 감정 상태가 +90이라면 이 간격은 180이라는 수치가 됩니다.
너무 멀어요. 그래서 우리는 현존이 필요합니다.
현존은 저 감정의 깊이를 0의 상태로 맞추는 겁니다.
내가 원하는 감정 상태에 훨씬 가까운 상태가 되고, 어느 쪽으로든 흐를 수 있는 유연한 마음의 상태가 됩니다.
0으로 맞춘 다음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렇게 흐름을 타게 되면 감사하는 마음도 절로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현존이 중요한 것입니다.
감정이 내가 원하는 방향에서 멀어졌을 때, 가장 빨리 0으로 돌릴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현존입니다.
요약이 아닌 거 같은 요약
1) 현존을 하는 방법은 호흡을 알아차리거나, 맛있는 걸 먹거나, 멋진 걸 보거나 할 때 생각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2) 평상시에 현존을 연습하는 방법은 '내가 지금 뭔 생각을 하고 있지?'라고 묻는 것입니다.
3) 또 다른 방법은 지금의 생각과 감정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4) 현존은 뭐 그런 특별하고 대단한 체험이 아닙니다. 우리기 현존이란 단어를 모를 때에도 늘 하던 겁니다.
이것에 현존이라는 이름을 붙이니 괜히 어렵게 느껴지는 겁니다. 정 모르겠다면, 지금 자기 뺨을 한대 짝! 때리세요.
그리고 나서 1초간 아무 생각 없는 그 상태가 현존입니다.
5) 그래도 모르시겠다면, '아 몰라!'라고 외치세요. 다음 생각이 떠오르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현존하신 겁니다.
6) 현존을 해야 하는 이유는, 마이너스로 내려간 감정을 0으로 돌리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7) 현존을 하면 원하는 결과를 만들 수 있나요?라는 질문에는 이렇게 답하고 싶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한 기반을 다진 겁니다.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민이 심할 때는 그냥 자버리는 것도 좋습니다. (0) | 2018.02.26 |
---|---|
'작은 행복'의 시간을 가지자. (0) | 2018.02.26 |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는 방법 (0) | 2018.02.18 |
'두려움' 을 극복하는 방법 (0) | 2018.02.11 |
'아이디어'가 당신의 '삶'을 바꾼다. (0) | 2018.01.22 |